] [QT]나와 네가 언약을 맺고 창세기 31:43~31:55
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QT]나와 네가 언약을 맺고 창세기 31:43~31:55

나와 네가 언약을 맺고

창세기 31:43~31:55

  • 43 라반이 야곱에게 대답하여 가로되 딸들은 내 딸이요 자식들은 내 자식이요 양 떼는 나의 양 떼요 네가 보는 것은 다 내 것이라 내가 오늘날 내 딸들과 그 낳은 자식들에게 어찌할 수 있으랴
  • 44 이제 오라 너와 내가 언약을 세워 그것으로 너와 나 사이에 증거를 삼을 것이니라
  • 45 이에 야곱이 돌을 가져 기둥으로 세우고
  • 46 또 그 형제들에게 돌을 모으라 하니 그들이 돌을 취하여 무더기를 이루매 무리가 거기 무더기 곁에서 먹고
  • 47 라반은 그것을 여갈사하두다라 칭하였고 야곱은 그것을 갈르엣이라 칭하였으니
  • 48 라반의 말에 오늘날 이 무더기가 너와 나 사이에 증거가 된다 하였으므로 그 이름을 갈르엣이라 칭하였으며
  • 49 또 미스바라 하였으니 이는 그의 말에 우리 피차 떠나 있을 때에 여호와께서 너와 나 사이에 감찰하옵소서 함이라
  • 50 네가 내 딸을 박대하거나 내 딸들 외에 다른 아내들을 취하면 사람은 우리와 함께할 자가 없어도 보라 하나님이 너와 나 사이에 증거하시느니라 하였더라
  • 51 라반이 또 야곱에게 이르되 내가 너와 나 사이에 둔 이 무더기를 보라 또 이 기둥을 보라
  • 52 이 무더기가 증거가 되고 이 기둥이 증거가 되나니 내가 이 무더기를 넘어 네게로 가서 해하지 않을 것이요 네가 이 무더기, 이 기둥을 넘어 내게로 와서 해하지 않을 것이라
  • 53 아브라함의 하나님, 나홀의 하나님, 그들의 조상의 하나님은 우리 사이에 판단하옵소서 하매 야곱이 그 아비 이삭의 경외하는 이를 가리켜 맹세하고
  • 54 야곱이 또 산에서 제사를 드리고 형제들을 불러 떡을 먹이니 그들이 떡을 먹고 산에서 경야하고
  • 55 라반이 아침에 일찌기 일어나 손자들과 딸들에게 입맞추며 그들에게 축복하고 떠나 고향으로 돌아갔더라

<질문>
1. 야곱과 라반은 어떤 식으로 언약 을 맺었는가? (44~48절)

--> 너와 나 사이에 증거를 삼을 것이니라. 언약을 세운다.?


2. 돌무더기를 ‘미스바’라고 부른 이 유는 무엇인가? (49절)

--> 여호와께서 너와 나 사이에 감찰하옵소서 함이라.

 

3. 야곱과 라반이 맺은 언약의 내 용은 무엇인가? (50~52절)

--> 네가 내 딸을 박대하거나 내 딸들 외에 다른 아내들을 취하면 사람은 우리와 함께할 자가 없어도 보라 하나님이 너와 내 사이에 증거하시느니라. 

 

<적용>
나에게 고통을 주었던 사람이 화해의 손을 내민 경험이 있는가? 혹은 내 가 먼저 화해의 손을 내밀어야 할 사람이 있는가? 하나님의 은혜를 받은 자로서 어떠한 화해의 태도를 가져야 하겠는가?

--> 고통의 순간.. 사람이 누군가를 용서하는것보다 더 놀라운 용서..

이 엄청난 개념?.. 잘 모르겠다. 

주님께서는 나를 용서하시는구나. 

사랑합니다. 주님

 

<참고>
여갈사하두다(47절) 아람어로 ‘증거의 돌무더기’라는 뜻이다. 라반이 살았던 메소포타미아 지역의 사람들은 아람어 를 사용했다.
갈르엣(47절) 히브리어로 ‘증거의 돌무 더기’라는 뜻이다.
미스바(49절) ‘지켜보다’라는 단어에 서 유래한 말로 ‘파수대’를 의미한다. 이 것은 야곱과 라반이 헤어진 후에 서로 가 약속을 지키는지 하나님께서 지켜보 시기를 원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아브라함의 하나님, 나홀의 하나님, 그 들의 조상의 하나님(53절) 라반이 부 른 하나님 뒤에는 복수 동사가 온다. 그 는 여러 신을 섬겼으며 ‘아브라함의 하 나님’을 다른 신과 구별하지 못한다. 반 면에 야곱은 ‘이삭이 경외하는 이’ 한 분 만을 가리켜 맹세한다.
떡을 먹고(54절)
고대 언약 체결은 제 물을 바치고 함께 식사하는 것으로 마 무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