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썸네일형 리스트형 [Keras] freeze Vgg16 Model.summary() 어떻게 다른지 알수가 없다. 1 2 3 4 5 6 print('conv_base를 동결하기 전 훈련되는 가중치의 수 : ', len(model.trainable_weights)) print(model.trainable_weights) conv_base.trainable = False print() print(model.trainable_weights) print('conv_base를 동결한 후 훈련되는 가중치의 수 : ', len(model.trainable_weights)) http://colorscripter.com/info#e" target="_blank" style="text-decoration:none;color:white">cs 동결 전 30개의 층 동결 후 4개의 층 더보기 [Keras] ImageDataGenerator를 사용하여 디렉터리에서 이미지 읽기 복잡하게 보일 수 있지만 다행히 케라스는 이런 단계를 자동으로 처리하는 유틸리티가 있습니다. 또 케라스에는 keras.preprocessing.image 에 이미지 처리를 위한 헬퍼 도구들도 있습니다. 14 특히 ImageDataGenerator 클래스는 디스크에 있는 이미지 파일을 전처리된 배치 텐서로 자동으로 바꾸어주는 파이썬 제너레이터(generator)를 반들어 줍니다. 이 클래스를 사용해 보겠다. 더보기 [말씀나눔] 이사야 7:11-14 표적을 구하라 이사야 7 : 11~14 11. '만일 네가 내 말을 확인하고 싶으면 표적을 구하라. 하늘에 있는 것이나 땅에 있는 것이나 무엇이든지 좋다.' 12. 그러나 아하스는 '아닙니다. 나는 주를 시험하지 않겠습니다.' 하고 대답하였다. 13. 그때 이사야가 이렇게 말하였다. '다윗의 후손들아, 들어라. 너희가 사람을 괴롭힌 것도 부족하여 이제는 하나님의 인내를 시험하려 하느냐? 14. 그러므로 여호와께서 직접 너희에게 표적을 주실 것이다. 처녀가 임신하여 아들을 낳을 것이며 그의 이름을 '임마누엘'이라 부를 것이다. 예수님의 탄생이 예고된 말씀입니다. 700년전 이사야를 통해 전해진 말씀입니다. 이사야 본문을 보면 유다 왕 바하스때에 아랍왕 르신과 베가가 연합군을 결속하고 남유다를 침공하게 됩니다. 하나님께서.. 더보기 [휘경교회] 예수님의 탄생을 기록한 마태복음의 저자 마태는 처음 기록한 순간부터 마지막까지 임마누엘의 신앙을 바탕으로.. 하나님이 우리와 함께 계시다는 말씀.. 복음 서의 기록이 끝난 순간에 사라지는 것이 아니라. 오늘을 살아가는 삶을 통해서도 다음 세대를 위한 복된 신앙은 계승되어야 할 줄로 .. 날마다 주님과 동행하는 삶을 살고 계십니까? 다시 오실 구세주이심을 믿으십니까? 날마다 주님과 동행하시는 믿음의 성도들이 되시길 예수님의 탄생의 예고는 중요한 진조. 700년전 이사야를 통해 전해진 말씀 놀라운 메시야의 탄생을 예고하고 있다. 본문을 보면 유다 왕 바하스때에 아랍왕 르신과 베가가 연합군을 결속하고 남유다를 침공하게 된다. 침략과 예언에 관한 말씀을 소개하고 있다. 성경에 기록때로 두 나라 연합군이 예루살렘.. 더보기 [python]실행오류 .ix --> . loc 짤오류 메세지를 잘 확인하자 파이썬에서 어떤 메세지를 출력하는지 멍청하게 왜 안될가... 하면서 똑같은 시도만 계속 해 보고 있어도 의미 없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home/uosest/.conda/envs/py27/lib/python2.7/site-packages/ipykernel_launcher.py:70: DeprecationWarning: .ix is deprecated. Please use .loc for label based indexing or .iloc for positional indexing See the documentation here: http://pandas.pydata.org/pandas-docs/stable/indexing.htm.. 더보기 [Jupyter notebook] Line number(행번호) 보이기 Cell 에서 Ctrl-m 으로 명령(Command) 모드로 들어간 후에 L 을 치면 줄 번호가 toggle되어 보인다. 더보기 라이브러리와 모듈, 프레임워크 더보기 [Linux] Mount(마운트) Windows에는 마운트(Mount)라는 개념이 별로 사용되지 않지만, 리눅스에서는 하드디스크의 파티션, CD/DVD, USB메모리 등을 사용하려면 특정한 위치에 연결을 해 줘야 한다. 이렇게 물리적인 장치를 특정한 위치(대개는 디렉토리)에 연결시켜 주는 과정을 마운트라고 한다. 그림을 보면서 좀 더 쉽게 다가가보자. 기차는 서울역에서 정차한다. (=디스크를 디렉토리에 마운팅) 홍길동은 서울역에서 기차를 탄다. (=데이터를 마운트 디렉토리에 저장) 기차는 홍길동을 태우고 목적지까지 간다. (=실제 물리적으로 디스크에 저장됨) 여기에서 기차는 리눅스 상에 있는 물리적 장치이고, 서울역은 마운트 된 디렉토리, 홍길동은 저장될 데이터라고 보면 된다. test.txt라는 데이터를 /data 아래에 저장하면 실제.. 더보기 이전 1 ··· 64 65 66 67 68 69 70 ··· 9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