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내가 된 이 여러분, 이와 같이 여러분은 자기 남편에게 순복하십시오.
이와 같이 : 호모이오스
동사 호모이오오는 호모이오스(o{moio": 같은, 같은 성질의)에서 유래했으며,
(a) '동등하게 하다, 같게 하다'.
(b) '비기다, 비교하다'.
(c) 수동태로, '같게 되다'를 의미한다.
하나님의 창조 질서에 따른 가정 생활의 기능을 말하는 것이다. 그리스도인 아내들이 노예와 같은 지위에서 남편들
에게 맹종을 할 수는 없으나 행복하고 화목한 가정이 되기 위해서 가장인 남편이 최종 적인 결정을 내리고 아내는 그 결정에 따라야 한다(Stibbs). 따라서 남편과 아내의 관계는 주.종의 관계가 아니라 협력자의 관계이다.
그리하면 비록 말씀에 복종하지 않는 남편일지라도, 말을 하지 않고도 아내 여러분의 행실로 말미암아 구원을 얻게 될 것입니다.
'도를 순종치 않는 자'는 그리스도인 여자들이 믿지 않는 남자들과 결혼한 상황
을 나타내는 표현
그리스도인 여자들은 비그리스도인 남편을 자신들의 말로써 회심시키려고 노 력하는 것이 아니라 남편에게 복종하는 행위로 말미암아 구원을 얻도록 해야 한다.
구원을 얻게 하려 함이니'에서 '얻게 하려함이니'에 해당하는 헬라어 '케르데데손타이'(*
)는 '이익'을 의미하는 '케르도스'(* )에서 유래된 말로서 '하나님과 그리스도의 영광을 위하여 이익이 되게 하다'라는 뜻이다.
남편이 된 이 여러분, 이와 같이 여러분도 아내가 여성으로서 자기보다 연약한 그릇임을 이해하고 함께 살아야 합니다. 그리고 생명의 은혜를 함께 상속받을 사람으로 알고 존중하십시오. 그리해야 여러분의 기도가 막히지 않을 것입니다.
남편에게 순종하라 하니 여성들이 또 그소리야 할수 있습니다. 본문의 배경은 당시 여성들의 권리는 말이 아니었습니다. 그런데 여성들이 그리스도를 믿는 사람들이 많았고 남성들은 로마 지배아래 이교도를 믿는 사람이 많았습니다. 남편에게 복음을 전해야 한다면 여러분은 어떤방식을 선택하시겠습니다. 1. 믿지 않는 남편은 사단의 자녀이니 '사단아 물러가라고'외치듯 폭력적인 방식을 사용하시겠습니까? 2. 말로 끊임없이 예수 믿으라고 권면하겠습니까? 3. 아니면 오랜기간 인격적인 관계를 맺으며 사랑의 수고와 순종함으로 다가서시겠습니까? 믿지 않는 남편을 그리스도께로 인도한다는 일은 대단히 어렵습니다. 그러나 인도하신 분들의 아름다운 간증을 들어보면, 모두다 오랜 순종과 기다림의 고통 이후에 얻게 되는 구원의 기쁨이었습니다. 성도여러분 쉬운 방법, 즉 말로만 복음을 전하려 하지 마세요. 선포하여야 하지만, 말과 사랑의 실천과 인내를 수반한 복음을 전하세요. 그것이 사람의 마음을 열게 합니다. 타인에게복음을 전하기 원하신다면 먼저 인격적인 관계를 맺고 복음을 전하세요. 말로만 하지 마세요. 세상 사람들은 말뿐인 그리스도인을 그렇게 좋아하지 않습니다.
하나님 아버지 감사합니다. 희선이에게 순종과 기다림, 시
어느정도까지 기다리고 어느정도 수준에서 말해야하는가?
남편이 된 이 여러분, 이와 같이 여러분도 아내가 여성으로서 자기보다 연약한 그릇임을 이해하고 함께 살아야 합니다. 그리고 생명의 은혜를 함께 상속받을 사람으로 알고 존중하십시오. 그리해야 여러분의 기도가 막히지 않을 것입니다.
남편된 자들아 이와 같이 지식을 따라 너희 아내와 동거하고 - 아내가 남편에게 순복한 것처럼 남편들도 아내들에게 해야 할 의무가 있다. '이와같이'는 1절과 동일한 분사로 기록되어 있는데 이는 결혼의 관계를 세상의 제도적인 것으로만 보지 말고 하나님께서 세우신 질서로 인식해야 함을 시사한다. 그러므로 남편 된 자들이 마땅히 아내들에게 결혼 생활 속에서 감당해야 할 의무는 연약한 아내를 보살펴 주는 것임을 말하고 있다. 부부 관계에 있어서는 마땅한 지식이 있어야 한다. 이 '지식'에 대한 헬라어 '그노신'(* )는 하나님께서 의도하고 있는 결혼 관계에 대한 인식 즉 결혼 생활에 대한 하나님의 뜻을 바로 분별하는 통찰력을 의미한다(Vincent). 한편 '동거하다'의 헬라어 '쉬노이쿤테스(* )는 '함께 살다'의 '쉬노이케 오'(* )에서 나온 말이다. 이것은 특히 성교와 관련된 말이나 (Kelly) 본문에서는 단순히 남편이 아내와 갖는 성적인 관계만이 아니라 여자의 육체 적인 연약함을 돌보는 전체적인 관계를 나타낸다(Reicke). 저는...귀히여기라 - 베드로는 두 가지 이유를 들어 남편들이 아내들을 귀하게 대 할 것을 권면한다. 더 연약한 그릇이요 - 이것은 지적이나 도덕적인 연약성이 아닌 육체적인 연약성 을 가리킨다(Blum). 생명의 은혜를 유업으로 함께 받을 자 - 아내가 남편에게 귀히 여김을 받을 또 다 른 이유는 영적인 면에서 남편과 동등하게 영생의 은총을 공유한 자이며 그것을 상속 받을 동등한 동반자이기 때문이다(Stibbs, blum, Michaels). 이는 너희 기도가 막히지 아니하게 하려 함이라 - 남편과 아내가 꾸미는 가정은 교회의 축소판이다(Clement). 가정 안에서 남편과 아내가 협력하며 공동의 목표를 가 지고 기도하였을 경우 두 세사람과 함께 계신 주님께서 응답하실 것 이다(마 18:20; 고전 7:5). 그러나 서로의 관심과 사랑을 필요로 하는 기도 생활에서(4:7-11; 마 5:23-24; 6:12,14; 18:15-20; 막 11:25) 남편이 악하게 아내를 대하거나 서로가 불화 하는 경우에는 기도의 효력이 발생하기 어렵다.
'말씀 > 열린문교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열린문교회] 벧전 4장 (0) | 2020.11.04 |
---|---|
[열린문교회] 벧전 3장 (0) | 2020.11.03 |
[열린문교회] 벧전 2:11~ 하나님의 종으로 살라 (0) | 2020.10.30 |
[열린문교회]새벽예배 베드로전서 1장 20~25 너희가 진리를 순종함으로 너희 영혼을 깨끗하게 하여 거짓이 없이 형제를 사랑하기에 이르렀으니 마음으로 뜨겁게 서로 사랑하라 (0) | 2020.10.29 |
[열린문교회] 야고보서 2장 (0) | 2020.10.16 |